CodeUp [기초 100제] - 1060
·
문제풀이/CodeUp 기초 100제
문제 설명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and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. 비트단위(bitwise)연산자 &를 사용하면 된다.(and, ampersand, 앰퍼센드라고 읽는다.) ** 비트단위(bitwise)연산자는, ~(bitwise not), &(bitwise and), |(bitwise or), ^(bitwise xor), (bitwise right shift) 가 있다.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: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: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& 5 :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 된다. 비트단위 and 연산은 두 비트열이 ..
CodeUp [기초 100제] - 1059
·
문제풀이/CodeUp 기초 100제
문제 설명 입력 된 정수를 비트단위로 참/거짓을 바꾼 후 정수로 출력해보자. 비트단위(bitwise)연산자 ~ 를 붙이면 된다.(~ : tilde, 틸드라고 읽는다.) ** 비트단위(bitwise) 연산자는, ~(bitwise not), &(bitwise and), |(bitwise or), ^(bitwise xor), (bitwise right shift) 가 있다. 예를 들어 1이 입력되었을 때 저장되는 1을 32비트 2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, ~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-2를 의미한다. 예시 int a=1; printf("%d", ~a); //-2가 출력된다. 참고 컴퓨터에 저..
CodeUp [기초 100제] - 1058
·
문제풀이/CodeUp 기초 100제
문제 설명 두 개의 참(1) 또는 거짓(0)이 입력될 때, 모두 거짓일 때에만 참이 계산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입력 1 또는 0의 값만 가지는 2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출력 둘 다 거짓일 경우에만 1을 출력하고,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 입력 예시 0 1 출력 예시 0 #include int main(){ int a,b; scanf("%d %d", &a, &b); if(a == 0 && b == 0) printf("1"); else printf("0"); return 0; }
CodeUp [기초 100제] - 1057
·
문제풀이/CodeUp 기초 100제
문제 설명 두 개의 참(1) 또는 거짓(0)이 입력될 때, 참/거짓이 서로 같을 때에만 참이 계산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입력 1 또는 0의 값만 가지는 2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출력 참/거짓이 서로 같을 때에만 1을 출력하고,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0 0 출력 예시 1 #include int main(){ int a,b; scanf("%d %d", &a, &b); if(a == b) printf("1"); else printf("0"); return 0; }
CodeUp [기초 100제] - 1056
·
문제풀이/CodeUp 기초 100제
문제 설명 두 가지의 참(1) 또는 거짓(0)이 입력될 때, 참/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참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참고 이러한 논리연산을 XOR(exclusive or, 배타적 논리합)연산이라고도 부른다. 집합의 의미로는 합집합에서 교집합을 뺀 것을 의미한다. 모두 같은 의미이다. 논리연산자는 사칙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, 연산의 순서를 만들어주기 위해 괄호 ( )를 사용해 묶어 주면 된다. 수학에서는 괄호, 중괄호, 대괄호를 사용하지만 C언어에서는 소괄호 ( )만을 사용한다. 예시 printf(“%d”, (a&&!b)||(!a&&b)); //참/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1로 계산 입력 1 또는 0의 값만 가지는 2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출력 참/거..
침입 차단 - 네트워크 기본(1) OSI 7계층
·
네트워크/침입차단
OSI 7 계층 통신 계층 참조 모델 시스템이 데이터를 보내고 받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(절차) OSI 모델(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 ISO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 필요 기능을 7 계층으로 분할하고 계층 간 인터페이스를 정의 OSI & TCP/IP 모델 OSI 모델은 참조 모델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님 실제 모델인 TCP/IP의 성공은 참조 모델의 정점을 증명 효율을 위해 일부 계층은 하나의 계층으로 통합 프로토콜이란? 의미 규약, 규정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절차에 대한 상호 간의 공식적인 약속 각 계층에서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대화한다. OSI 7 계층 동작 7계층..